온에어2017. 4. 12. 07:55
조금만 걸어도 무릎이 붓는 느낌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2015년 30~40대 환자 수가 2011년에 비해 무려 33%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노화뿐 아니라 잘못된 자세, 운동, 식습관도 무릎 관절 손상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관절 연골은 손상되거나 닳아 없어지면 회복이 어렵게됩니다. 주사요법부터 약물 치료, 수술까지 다양한 무릎 관절염 치료법의 종류부터 일상생활에서의 예방법을 알아봅니다.

[지긋지긋한 무릎통증! 나도 관절염]
-관절염테스트
1. 많이 걷고나면 무릎이 2~3일 아프다.
2. 계단 오르내릴 때 무릎이 아프다.
3.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이 아프다.
4. 걷다가 서면 갑자기 무릎 힘이 빠지며 주저 앉을 것 같다.
5. 많이 걸으면 무릎이 붓는다.
6. 차렷 자세로 서면 무릎 사이가 주먹 크기만큼 벌어진다.
7. 다리 뻗고 앉으면 무릎 뒤쪽이 바닥에 닿지 않는다.

<결과>
0~1개 해당 : 관절 나이 20~30세로 관절 상태가 좋다
2~3개 해당 : 관절 나이 40세로 관절 상태를 점검할 때
4~5개 해당 : 관절 나이 50~60세로 퇴행성 관절염이 시작된 상태
6개 이상 : 관절 나이 70세로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할 때
 
# 관절염 치료! 이것이 궁금하다?
뼈 주사 맞으면 뼈 녹는다?
-스테로이드 성분이 있어 무분별하게 맞으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1년에 2회 이상은 금물
 
연골 주사 맞으면 관절염 예방된다?
-연골주사는 연골을 보호하고, 연골의 기능을 도움.
연골을 재생시켜주거나 예방해주지는 않음
 
수술은 최후의 수단! 내게 맞는 시술이 있다?
-관절 내시경 : 무릎통증 환자에게 보전적 처치 후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외과 치료
-자가연골 이식술 : 젊은 중년 환자에게 해볼만한 시술. 건강한 연골을 떼어내 손상된 연골 부위에 이식. 손상된 위치에 따라 시행이 어려울 수 있음. 퇴행성 관절염 초기에 좋은 시술.
-줄기세포 이식술 : 줄기세포를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 넓은 연골 손상이 있는 경우 사용하면 좋음. 하지만 심한 골관절염에는 효과가 적음.
-교정 절골술 : 관절염이 무릎의 한쪽에만 있거나 O자 다리나 X자 다리가 있는 경우 다리 모양을 똑바로 잡아서 체중부하를 관절염이 없는 반대쪽으로 분산시킴.
 
<무릎관절염 단계별 치료법>
1단계 : 증상은 느끼지만 관절염 소견이 없는 경우 -> 체중 감량, 생활습관 개선
2단계 : 경미한 증상, 관절염 소견 ->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중감량, 생활습관 개선
3단계 : 증상이 심해지고 관절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 위의 처방과 함께 수술 고려
4단계 :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변형이 동반되는 경우 -> 위의 처방과 함께 수술 고려
 
인공관절 수술은 65세 넘은 사람만 하라?
-인공관절 평균 수명은 15년~20년으로 재수술을 되도록 피하기 위해 65세 이후에 수술 권함.
 
무릎 관절염엔 계단 오르기가 독이다?
-계단 오르기는 근력 강화+신체 균형 감각 높일 수 있으 무릎 건강에 좋음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 3, 4단계, 즉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관절염이 심한 환자는 계단 오르기보다 평지 운동, 자전거타기, 수중 운동 등을 주로 하되 계단을 피할 필요는 없다.
 
허벅지 근육이 무릎 관절에 보약이다?
-허벅지와 종아리 근육은 무릎 위, 아래에서 관절을 지탱
 
무릎 관절염에 좋은 걷기방법이 따로있다?
-무릎 관절염이 있다면 뒤로 걷기가 좋음.
평소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단련시키고,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음
 
무릎 관절 재생시키는 특효 음식이 있다?
-닭발, 오가피, 도가니탕, 우슬 등이 관절에 좋다?
이러한 식품이 연골 재생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증명되지는 않음.
관절건강에 특정 음식보다 칼슘,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을 균형있게 먹는 게 중요.
 
글루코사민! 관절 건강을 위해 필수다?
-글루코사민은 관절염 치료약이 아니라 관절에 영양을 제공하는 건강기능식품.
 
<무릎 관절염 완화 허벅지 근력 운동>
-의자를 활용한 무릎 주변 근육의 이완 및 스트레칭 1
야외 활동이나 운동 전 주변 기둥이나 기댈 곳을 잡고 두 다리를 앞 뒤로 1.5m 정도 벌려준다. (본인 다리 길이정도만큼)
앞 무릎을 90도 정도 구부리며 뒷 다리를 쭉 뻗어준다.
뒤로 뻗은 다리에 집중하며 허벅지 앞쪽 근육을 길게 늘여준다.
 
-의자를 활용한 무릎 주변 근육의 이완 및 스트레칭 2
주변 기둥이나 기댈 곳을 잡고 한 다리를 접어 손으로 발을 잡는다.
척추를 곧게 세우고 발을 엉덩이 쪽으로 당겨 허벅지 앞 근육을 늘여준다.
가능하면 앞 근육에 집중하며 무릎을 살짝 뒤로 빼주어 조금 더 유연성을 기른다.
 
-다리 뻗어 근력 강화 운동
의자에 앉아 척추를 곧게 세우고 복부에 힘을 준다.
한다리를 앞으로 뻗어 발끝을 몸쪽으로 당긴다.
허리를 곧게 편상태를 유지하며 뻗은 다리를 5cm 정도 들었다 내리기를 반복한다.
(*응용 : 스타킹을 이용해 뻗는 다리의 힘을 길러주어도 좋다.)
 
<매일매일 관절 건강 3대 수칙>
쿠션 좋은 신발을 신어라
하루 20분 햇볕을 쬐라
침대와 의자, 대걸레를 써라


☞ 인투인포☜